본문 바로가기

국내 소식

4.19 혁명

오늘은 4.19 입니다.

 

얼마 전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에 맞서 전국적으로 일어났던 촛불시위와 4.19혁명은 비슷하다 볼 수 있습니다.

다만, 4.19혁명은 수많은 학생들과 시민이 피를 흘리는 희생이 있었습니다.

 

 

4.19 혁명기념일은 1960년 4월 19일 학생들의 중심으로 일으킨 민주주의 혁명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혁명의 정신을 기리기 위한 날이라고도 하는데, 4.19혁명 희생자 영령을 추모하고 4.19 민주이념을 계승하여 정의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매년 4월 19일을 기념을로 정하였습니다.

 

 

4.19 혁명은 1960년 4월 19일 학생과 시민들이 일으킨 반독재 민주주의 운동입니다.

1960년 3월 15일 제4대 대통령 선거에서 일어난 대규모 선거 부정행위(3.15부정선거)에 대한반발로 일어났다고 합니다.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은 개헌을 거듭하며 정권을이어갔지만 1950년대 후반 이승만 정권의 독재 체제에 관한 불만이 커지자 이승만과 자유당은 정권유지를 위해 제4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대적인부정선거를 감행했습니다.

 

선거일인 1960년 3월 15일 경상남도 마산에서 3.15 부정선거에 대한 항의하여 학생들과 시민들이
큐탄 시위를 벌였고, 이 과정에서 경찰이 발포하면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4월 11일 1차 발포 때 행방불명이었던 고등학생 김주열군의 시체가 눈에 최루탄이 박힌 참혹한 모습으로
발견되면서 이는 4.19혁명의 촉발제가 되었습니다.
 

 

 

이후 학생들의 시위를 보고만 있을수 없었던 대학 교수들도 단체시위를 하게 됩니다.

학생을 중심으로 부정한 정권을 향해 나아갔던 시위는 시민과 교수들의 합류로 결국 이승만의 독재와

함께 했던 경찰대와 반공청년단들을 어떤 무기도 들지 않고 무릎꿇게 만듭니다.

  


이를 계기로 시위는 부정선거 큐탄에서 독재정권 타도로 발전하였고,

이승만은 계엄령을 선포하고 사태를 모면하려 했으나,

 4월 26일 하야하고 하와이로 명명하였다고 합니다.

 

(철거되는 이승만 동상)
 
4.19 혁명 정신은 이후 민주화 운동으로 이어졌으며, 1987년 개정된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는

대한민국은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하고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4.19혁명 57주년을 맞아 그 때의 희생정신을 다시 한번 되돌아보고,

다시는 이런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우리 나라와 정부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곧 대통령 선거가 나가오는데, 한명도 빠짐없이 투표에 참여하여

민주주의 의미를 실천해 보는건 어떨까요.

 

 

 

시세차익을 통한 이익창출!

전자화폐의 새로운 시장!

★트레이드코인클럽★